메뉴제목
> 커뮤니티 > 원장님칼럼

심리에 대한 이해...

조회 수 987 추천 수 0 2015.12.02 15:49:40

심리(心理)는 마음()에 대한 이해()를 말한다. 이때의 마음은 개체로써의 마음 즉 라고 부르는 에고의 마음을 말한다. 인간은 누구나 마음에 고통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지닌 마음의 고통을 힌두교에서는 마야(환영), 기독교에서는 원죄, 불교에서는 두카(Duhkha) 또는 고()라고 부른다.



그러면 마음의 고통은 왜 일어나는가? 고대로부터 수많은 종교는 인간의 마음을 나름대로 관찰하고 탐구하면서 고통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해왔다. 기독교는 인간의 고통이 원죄로부터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원죄는 하나님이라는 하나된 마음에서 분리되어 선악이라는 이원론으로 빠져들면서 생기는 분별과 분리의식을 말한다. 그래서 이들은 다시금 하나된 마음을 믿고 하나님의 나라로 돌아가는 것을 천국에 든다고 한다.



그리고 힌두교는 인간의 고통을 마음이 지어내는 환영 즉 꿈과 같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이 꿈임을 알고 꿈에서 깨어나는 것을 깨달음이라했으며, 깨달으면 고통으로부터 해방된다고 한다. 또한 불교에서는 인간의 고통을 탐(), (), ()라는 3독으로부터 생겨났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모든 현상이 고정되지 않고 변화함을 아는 무상과 고정된 개체로서의 가 없음을 아는 무아를 증득하면 고통으로부터 해방되어 열반에 든다고 한다.



마음은 기본적으로 욕구와 느낌, 감정과 생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교에서는 이것을 수(), (), (), ()이라고 한다. 이때 ()는 괴롭다, 즐겁다,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다 등으로 느끼는 것을 말하고, ()은 외부의 사물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연상하는 생각을 말하며, ()은 상황에 따라 생겨나고 변화하는 반응을 말하며, ()은 의식하고 분별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마음들이 일어나는 것은 개체가 가진 근본적인 욕구 즉 탐심(貪心)에서 생겨난다. 욕구는 무엇을 원하는 마음이며, 욕구는 무엇을 추구하는 마음이며, 욕구는 되고자 하고 이루고자 하는 마음이다. 욕구를 가진다는 것은 개체가 원하는 것을 자신의 뜻대로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하지만 삶은 개체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고 삶의 순리와 이것과 저것의 만남에 의해 연기적으로 흘러간다. 결국 인간의 심리적인 고통은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욕구의 불만족에서 생겨난다.



이때 마음에서 하나의 욕구가 생겨나면 욕구는 다음단계인 느낌 즉 ()를 일으킨다. 느낌은 좋은 것과 나쁜 것,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닌 3가지 느낌으로 나뉜다. 느낌은 다음단계인 감정을 일으킨다. 감정에는 좋은 감정(기쁨 즐거움, 환희...)과 싫은 감정(불안, 외로움, 슬픔,,,)이 있으며, 좋은 감정은 붙들려하고 싫은 감정은 거부하고 저항한다. 붙들려는 마음과 저항하는 마음은 생각을 일으킨다.



생각은 느낌과 감정이 가진 경험의 기억에서 다양한 패턴으로 일어난다. 패턴화된 생각을 틀 또는 프레임이라고 한다. 이렇게 한 개인의 심리를 안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그 사람이 원하는 욕구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떤 원인에 의해 만족되지 못했고, 그로인해 어떤 부정적인 감정과 왜곡된 생각의 프레임에 빠지게 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60 인생의 질문 4가지.... 원장 2016-02-27 987
» 심리에 대한 이해... 원장 2015-12-02 987
458 올바른 수행의 길.... image 원장 2016-11-28 989
457 삶은 게임과도 같다... 원장 2016-12-14 990
456 의도와 결심에 대해서..... 원장 2014-04-23 991
455 명상의 아침.... 원장 2013-10-15 992
454 무엇이 문제인가요? 원장 2015-10-21 993
453 에고의 업식은 당연함을 주장한다.... 원장 2015-10-20 993
452 그림자가 빛이 되는 사연... 원장 2016-05-13 993
451 명상 중에..... - 성원님 - 원장 2013-11-20 995
450 새로운 시대의 교욱과 비전.... image [1] 원장 2016-01-16 995
449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체계의 전환..... 원장 2016-12-06 995
448 깨달음이 바로 변화입니다.... 원장 2018-05-28 995
447 명상과 심리의 다른점... 원장 2015-09-30 996
446 행복은 조건이 아니라 지금의 자신을 누리는 마음... 원장 2017-05-01 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