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제목
> 커뮤니티 > 원장님칼럼

심리에 대한 이해...

조회 수 991 추천 수 0 2015.12.02 15:49:40

심리(心理)는 마음()에 대한 이해()를 말한다. 이때의 마음은 개체로써의 마음 즉 라고 부르는 에고의 마음을 말한다. 인간은 누구나 마음에 고통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지닌 마음의 고통을 힌두교에서는 마야(환영), 기독교에서는 원죄, 불교에서는 두카(Duhkha) 또는 고()라고 부른다.



그러면 마음의 고통은 왜 일어나는가? 고대로부터 수많은 종교는 인간의 마음을 나름대로 관찰하고 탐구하면서 고통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해왔다. 기독교는 인간의 고통이 원죄로부터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원죄는 하나님이라는 하나된 마음에서 분리되어 선악이라는 이원론으로 빠져들면서 생기는 분별과 분리의식을 말한다. 그래서 이들은 다시금 하나된 마음을 믿고 하나님의 나라로 돌아가는 것을 천국에 든다고 한다.



그리고 힌두교는 인간의 고통을 마음이 지어내는 환영 즉 꿈과 같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이 꿈임을 알고 꿈에서 깨어나는 것을 깨달음이라했으며, 깨달으면 고통으로부터 해방된다고 한다. 또한 불교에서는 인간의 고통을 탐(), (), ()라는 3독으로부터 생겨났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모든 현상이 고정되지 않고 변화함을 아는 무상과 고정된 개체로서의 가 없음을 아는 무아를 증득하면 고통으로부터 해방되어 열반에 든다고 한다.



마음은 기본적으로 욕구와 느낌, 감정과 생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교에서는 이것을 수(), (), (), ()이라고 한다. 이때 ()는 괴롭다, 즐겁다,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다 등으로 느끼는 것을 말하고, ()은 외부의 사물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연상하는 생각을 말하며, ()은 상황에 따라 생겨나고 변화하는 반응을 말하며, ()은 의식하고 분별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마음들이 일어나는 것은 개체가 가진 근본적인 욕구 즉 탐심(貪心)에서 생겨난다. 욕구는 무엇을 원하는 마음이며, 욕구는 무엇을 추구하는 마음이며, 욕구는 되고자 하고 이루고자 하는 마음이다. 욕구를 가진다는 것은 개체가 원하는 것을 자신의 뜻대로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하지만 삶은 개체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고 삶의 순리와 이것과 저것의 만남에 의해 연기적으로 흘러간다. 결국 인간의 심리적인 고통은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욕구의 불만족에서 생겨난다.



이때 마음에서 하나의 욕구가 생겨나면 욕구는 다음단계인 느낌 즉 ()를 일으킨다. 느낌은 좋은 것과 나쁜 것,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닌 3가지 느낌으로 나뉜다. 느낌은 다음단계인 감정을 일으킨다. 감정에는 좋은 감정(기쁨 즐거움, 환희...)과 싫은 감정(불안, 외로움, 슬픔,,,)이 있으며, 좋은 감정은 붙들려하고 싫은 감정은 거부하고 저항한다. 붙들려는 마음과 저항하는 마음은 생각을 일으킨다.



생각은 느낌과 감정이 가진 경험의 기억에서 다양한 패턴으로 일어난다. 패턴화된 생각을 틀 또는 프레임이라고 한다. 이렇게 한 개인의 심리를 안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그 사람이 원하는 욕구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떤 원인에 의해 만족되지 못했고, 그로인해 어떤 부정적인 감정과 왜곡된 생각의 프레임에 빠지게 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과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5 몸이 보내는 신호에 관심을 가져라.... [1] 원장 2015-03-04 1528
324 포도원 소작인의 비유... 원장 2014-04-23 1526
323 에고의 정체를 아는 것이 자기발견이다. 원장 2015-07-22 1522
322 하나됨으로의 인식.... 원장 2013-01-16 1514
321 가슴열림의 경험들..... 원장 2013-01-19 1513
320 도가 뭡니까? 원장 2012-11-28 1513
319 머리와 가슴. 원장 2012-09-01 1513
318 상대적인 공과 절대적인 공... 원장 2013-06-14 1511
317 무지가 바로 모든 고통의 뿌리입니다. 원장 2017-09-22 1510
316 고통과 괴로움의 차이.... 원장 2014-03-24 1509
315 인생은 포기의 과정인가? [2] 원장 2013-06-28 1508
314 수행과 방편은 질병에 대한 약과 같다. 원장 2012-09-17 1505
313 단식 - 4일째 [1] 원장 2012-04-19 1505
312 처음 먹은 초심을 지키는 마음.... 원장 2015-02-22 1504
311 인생.. 그자신만의 길.... 원장 2015-01-17 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