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제목
> 커뮤니티 > 원장님칼럼

명상과 심리의 다른점...

조회 수 995 추천 수 0 2015.09.30 14:30:18

심리와 명상의 다른 점



우리는 자신의 삶이 행복하고 자유롭기를 원한다. 하지만 삶은 우리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는다. 삶에서 자꾸만 늘어나는 문제와 갈등의 현실을 마주하게 될 때 우리는 인생이 고통이라고 생각한다. 이때 심리를 통한 치유와 명상을 통한 쉼의 자리는 우리의 고통과 혼란을 해소시켜 삶을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안내자가 된다.


특히 요즘은 심리적인 고통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만이 아니라 명상의 기법들과 동 서양의 다양한 이론들이 접목되면서 그 어떤 시대보다 마음의 고통에 대한 치유수단들이 다양하게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때로 심리치유와 명상에 대한 서로 다름의 이해 없이 방법만을 혼용하여 마음치유에 적용하게 되면 상담자뿐만 아니라 내담자들 또한 문제해결에 혼란을 겪을 수 있다. 그러기에 마음의 고통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에 있어서는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다양한 기법들을 조화롭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먼저 명상과 심리의 차이는


1. 심리의 영역이 라는 에고의 현실적인 안전과 자아를 확장하여 자기만족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라면, 명상의 영역은 에고의 원함에 따른 현실적 욕구보다는 영성의 관점에서 라는 에고 자체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한다.


2. 심리는 우리에게 성취와 만족을 위한 긍정적인 방향성과 자기만의 확고한 믿음과 자신감을 심어준다. 하지만 명상은 성취와 만족을 추구하는 라는 에고 자체의 갈등과 습관으로부터의 자유에 초점을 둔다.


3. 심리는 자아에게 현실적인 안전을 보장하고, 용기를 북돋아, 에고의 욕망과 목표에 더욱 동일시하여 현실에서 흔들리지 않는 힘을 준다. 그리고 심리는 자기만의 경계영역(생각과 감정과 몸)이 무엇인지 확실히 알게 하여 관계 안에서 자기영역을 확고하게 지키게 하여, 억압된 감정들과 욕망들을 현실적으로 표현하고, 성취하도록 돕는다. 결국 심리는 허약한 자아를 더욱 강화하고, 혼란한 자신의 내적갈등과 투쟁을 획일화하여 자신이 현실적으로 원하는 목표와 성취의 삶을 이루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다.


4. 명상은 내가 라고 동일시하는 자신만의 기준과 틀들을 깨게 만든다. 예를 들어 우리는 자신의 과거 경험과 기억이 만든 관념(생각)들을 붙들고, 스스로의 생각 안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자아이미지를 만든다. 이런 이미지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이나 상처받은 경험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각이 만든 환상이지만 우리는 이런 이미지를 자신과 동일시한다.


5. 심리에서는 자아 이미지가 흔들리지 않도록 더욱 강한 자기신념과 자아에 대한 긍정적인 암시를 가지게 하는데 초점을 둔다면, 명상은 라는 이미지자체가 환영임을 깨닫게 한다.


6. 명상은 우리로 하여금 자기이 동일시하는 생각으로부터 벗어나서 사람과 사물을 '있는 그대로순수하게 대하는 마음을 길러준다. 우리의 몸과 마음은 언제나 온전함 자체인 생명력으로 유지되며, 단지 생각과 분별이 내려지면 고통과 상처는 저절로 정화되고 치유되는 힘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잘못된 견해나 왜곡된 사고의 습관을 가진다면 생명의 흐름은 왜곡될 수밖에 없다.


7. 명상은 잘못된 사고와 의도들을 비워내고 그 속에 신선한 생명력과 순수한 마음을 가지게 한다. 명상은 문제와 고통의 초점을 외부가 아닌 자신의 내면으로 돌이켜 자기 안의 욕망과 집착과 무지를 바르게 알게 함으로서 새롭게 자신을 발견해 나가는 과정이다.


8. 명상은 남을 원망하고 비난하고 싶은 마음 때문에 관계가 힘들고 고통스러울 때 문제를 보는 관점을 외부로 향하기 보기보다는 자기내면으로 마음을 돌이켜 자기 안의 욕망과 기대감을 보게 한다. 이때 모든 문제와 고통은 외부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작용에서 일어나는 것임을 알게 한다.


그러기에 상담에서 자아에 대한 중심이 허약한 사람에게는 심리기법을 적용하여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나 잘못된 신념과 억압된 감정들을 풀어주는 것이 우선되어야한다. 하지만 자기중심이 약한 사람에게 명상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자신을 내리고 자아의 이미지를 깨라고 하면, 안 그래도 자아가 허약하여 의존적이고 현실의 문제를 회피하고 싶은 사람에게 매력적인 도피수단이 될 수도 있다. 반면에 자기중심성과 자기신념이 너무 강해 관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들에게는 심리적으로 상처치유나 자기주장의 강화보다는 명상적인 방법으로 그들이 지닌 자아의 기준과 이미지에 대한 프레임을 놓게 하는 방법들이 도움이 될 것이다.


상처받은 자아에게 심리적인 접근은 가장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자아의 문제를 보게 하며 를 강화하고 안정시켜준다. 이때 심리를 통해서 자아 중심이 바로 선 자아는 명상을 통해 영성의 영역에 들어서게 되면 삶의 진실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내면의 심리적인 이해와 중심을 바로 세우지 않고 명상으로 영성에 접근하는 사람들은 교리의 잘못된 믿음과 영적인 지도자에 대한 맹신으로 지나친 의존에 빠지기 쉽다. 교리에 대한 잘못된 신념은 결국 외부세계와 단절을 가져오고, 지도자에 대한 지나친 맹신과 의존은 현실에 바로 서지 못하고 뜬구름 잡는 자기최면에 빠지게 된다.


인생의 문제와 고통에서 우리는 방법과 수단이 아닌 각각의 인간자체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한 삶의 문제에 접근은 상황과 때에 따라 적절하게 방법과 수단들을 활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 모든 선입견과 알고 있다는 지식이 만든 개념은 삶의 흐름과 살아있는 생명의 약동을 가두고 틀지어 가슴이 아닌 머리의 생각이 만든 불안에 최면 시킨다. 명상은 사고가 아닌 느끼고 맡김으로서 두려움을 깨고 행하는 힘을 길러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60 심리에 대한 이해... 원장 2015-12-02 987
459 인생의 질문 4가지.... 원장 2016-02-27 987
458 올바른 수행의 길.... image 원장 2016-11-28 989
457 의도와 결심에 대해서..... 원장 2014-04-23 990
456 삶은 게임과도 같다... 원장 2016-12-14 990
455 명상의 아침.... 원장 2013-10-15 992
454 무엇이 문제인가요? 원장 2015-10-21 993
453 에고의 업식은 당연함을 주장한다.... 원장 2015-10-20 993
452 그림자가 빛이 되는 사연... 원장 2016-05-13 993
451 명상 중에..... - 성원님 - 원장 2013-11-20 995
450 새로운 시대의 교욱과 비전.... image [1] 원장 2016-01-16 995
449 세상을 바라보는 인식체계의 전환..... 원장 2016-12-06 995
448 깨달음이 바로 변화입니다.... 원장 2018-05-28 995
» 명상과 심리의 다른점... 원장 2015-09-30 995
446 행복은 조건이 아니라 지금의 자신을 누리는 마음... 원장 2017-05-01 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