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제목
> 커뮤니티 > 원장님칼럼

인간의 성장과 의식의 진화

조회 수 1474 추천 수 0 2015.01.02 17:31:48

태어난 개체의식은 현상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서서히 진화한다. 의식은 태어나서 주로 3세까지는 대상과 자신을 구분하지 못하고 동일시하는 일체화단계에 있게 된다. 간난아이에게 외부세계는 아직 자신의 현실로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와 자신을 하나로 인식되는 전개인화단계이다.


이후 아이는 주변과 교류하면서 언어를 배우고 생각을 통해 대상과 자신을 구분하는 상징적단계로 나아간다. 상징적 단계는 일체화 된 무조건적인 사랑에서 분별을 통한 조건적인 사랑으로 나아감이다.

  


이 시기를 거치면서 아이의 의식은 외부를 통해 자신을 인식하면서 객관과 주관의 분리된 이원성의 세상으로 나아간다. 유아기를 거치면서 의식은 생존과 개인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교육과 훈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회화단계에 들어선다.


이때 의식은 객관적으로 허용되는 개념을 가지고 내면의 욕망과 두려움을 억제하거나 통제하는 사회화 교육을 받는다. 하지만 이런 객관적 개념을 주입하는 사회화 교육은 의식에게 존재로서의 중심을 잃게 하여 스스로를 소외시키는 행위중심의 삶을 살게 한다.

   



아이가 자라 사춘기에 들어서면 의식은 자신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과 남들과 다른 내 것을 인식하면서 객관화에서 주관화로 나아간다. 주관화는 사회화와 교육을 통해 외부를 보던 눈을 내면으로 돌려 외부의 대상과 작용은 모두가 나의 의식에서 작용임을 알아차려 자기됨과 개별화로 나아가는 단계이다



하지만 의식이 객관에서 주관으로 나아가려할 때 심리적으로 엄청난 고립감과 두려움에 휩싸이기 쉽다. 왜야하면 객관의 권위에 순응하며 안정감을 얻은 의식이 자기만의 주관을 가진다는 것은 외부와의 갈등과 불안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중의 일반적인 패턴을 따르면서 의식의 자기됨이라는 성장을 멈추고 자기만의 주관적 자아의식을 포기하는 자아상실로 나아가기 쉽다.




하지만 의식이 순조롭게 자기됨과 개별화의 진화과정을 잘 거치게 되면 의식은 이제 대상화된 객체와 대상을 인식하는 주체로서의 자신을 하나로 인식하는 보다 넓은 존재의식으로 나아간다. 사는 행위와 파는 행위가 하나의 행위이고, 받는 것과 주는 것이 하나의 행위이듯이 대상과 주체는 나누어진 것이 아니라 모두가 존재의식의 자기투영임을 알게 된다. 그리고 존재의식은 다시금 그것이 있기 이전의 절대의식으로 회귀한다.



영화관의 스크린에는 이런 저런 다양한 영화가 상영된다. 하지만 스크린은 언제나 영화의 필름을 반영할 뿐이다. 존재의식 위에 이런 저런 행위와 형상들이 비치지만 스크린 자체에는 언제나 변함이 없다. 태어난 것은 몸이 아니라 의식이다. 하지만 그 의식조차 사실 태어난 적이 없다. 단지 태어났다는 인식과 개념이 있을 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80 그것..... 원장 2014-11-26 1713
279 달과 손가락... 원장 2014-11-26 1064
278 '나돔'의 세움... 원장 2014-11-26 1082
277 그냥 그러하더라.... 원장 2014-11-26 947
276 존재의 자각이 행복이다.... 원장 2014-11-26 1064
275 깨어남은 의식이다... 원장 2014-11-26 1188
274 저항감은 에고의 특성이다... 원장 2014-11-26 1380
» 인간의 성장과 의식의 진화 원장 2015-01-02 1474
272 개체의식의 탄생... 원장 2015-01-02 1682
271 존재의식.... 원장 2015-01-02 1297
270 인생.. 그자신만의 길.... 원장 2015-01-17 1505
269 감사를 가지는 습관... 원장 2015-01-27 1148
268 변화는 새로운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원장 2015-01-27 1084
267 생활속의 질문과 답변.... 원장 2015-01-30 1118
266 어린왕자 15장 - 지리학자의 별에서.... 원장 2015-02-04 4632